건강보험료 산정 기준 계산방법 총정리
2024년 건강보험료율이 동결되었습니다.
직장가입자는 직장과 반반 부담을 하는 것과 다르게 지역가입자는 100% 납입을 하기 때문에 건강보험료가 인상되었을 때 부담이 크기 마련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역가입자와 직장인가입자의 건보료 산정 기준 및 계산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1) 직장가입자
직장가입자의 경우 보수월액 보험료 또는 소득월액 보험료로 산정이 됩니다.
보수월액 보험료의 경우 직장인 보수, 부담능력에 의해 보험료를 부과하는 구조 이며 신고한 보수월액으로 보험료를 내고 매년 3월 10일까지 전년도 보수 총액을 신고받아 보험료를 다시 정산하는 구조입니다.
보수월액보험료 (2023년)
반대로 소득월액 보험료의 경우 보수월액에 포함된 보수를 제외한 소득이 연간 2,000만 원을 초과하는 직장 가입자에게 보수 외 소득을 기준으로 소득월액 보험료를 부과하는 방식입니다.
소득월액보험료(2023년)
2) 지역가입자
지역가입자의 소득, 재산, 자동차 등을 기준으로 정한 부과요소별 점수를 합산해 보험료 부과 점수에 점수당 금액을 곱해 보험료를 산정하고 경감률 등을 적용해서 세대 단위를 부과하는 구조입니다.
건강보험료 쉽게 계산하는 방법
1) 4대 사회보험 정보 연계센터 홈페이지 이용하기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서 우측 하단에 보험료 계산기를 사용하세요.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에 맞춰 월 급여만 입력하면 쉽게 건보료 계산이 가능합니다.
하단에 첨부드린 건강보험료 계산기 바로가기 링크를 누르시면 4대 사회보험 정보 연계센터 홈페이지에
들어가지 않고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2)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이용하기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 방문자별 맞춤메뉴에서 보험료 계산기를 누르면
나의 건강보험료 알아보기, 지역보험료 모의 계산하기, 직장보험료 모의계산하기, 임의계속 보험료 모의계산하기
채널을 통해 4대 예상 사회보험료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바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누리상품권 구매, 사용처, 환급 등 알아보기 (4) | 2023.11.15 |
---|---|
퇴직연금 중도인출 사유, 서류, 신청 관련 총정리 (38) | 2023.11.13 |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조건, 자격, 방법 등 총정리 (32) | 2023.11.12 |
전입세대 열람내역서 신청자격, 발급방법, 필요서류 총정리 (36) | 2023.11.10 |
퇴사 이직 후 연말정산 방법 총정리 (39) | 2023.11.10 |